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계의 전통 커피 스타일 비교

by 신동82 2025. 8. 26.

우리가 매일 마시는 커피.
하지만 전 세계 사람들이 커피를 마시는 방식은 제각기 다릅니다.
세계를 여행하다 보면 각 나라 고유의 커피 스타일을 만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세계 곳곳의 전통 커피 스타일을 비교하며, 각 나라가 어떻게 커피를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해석해 왔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원두가담긴자루



1. 터키의 전통 커피: 고대의 방식, 현대의 문화유산

🇹🇷 전통 이름: 튀르키예 커피 (Türk Kahvesi)

터키 커피(Turkish Coffee)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방식 중 하나로, 곱게 간 원두와 물, 설탕을 함께 끓이는 방식이 특징입니다.

  • 사용 기구: 제즈베(cezve) 라는 작은 구리 냄비
  • 필터 없이 그대로 끓여 마시며, 커피 찌꺼기는 잔 바닥에 남음
  • 종종 카드뮴, 계피 등의 향신료를 함께 넣기도 함
  • 커피를 마신 뒤 점(占)을 보는 문화도 있음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터키 커피는 의식, 환대, 소통의 상징으로, 커피가 결혼, 점 보기, 접대 등 사회적 의미를 가진 음료입니다.

2. 베트남 커피: 강하고 달콤한 고유 스타일

🇻🇳 전통 이름: 카페 쓰어 다(Cà phê sữa đá)

베트남 커피는 프렌치식 커피 문화의 현지화로 시작됐습니다.
프랑스 식민지 시절 도입된 드립 방식과 로부스타 원두가 주를 이루며, 강하고 진한 맛이 특징입니다.

  • 사용 기구: 프렌치 드립 필터(Phin)
  • 대표 스타일: 카페 쓰어다(Cà phê sữa đá) – 연유와 얼음을 넣은 아이스커피
  • 계란커피(Cà phê trứng), 코코넛커피 등 다양한 파생 메뉴 존재
  • 대중적인 로드사이드 카페(좌식 문화)와 결합된 일상 속 커피 문화

베트남은 세계 2위 커피 생산국이며, 로부스타 소비 중심의 독자적 커피 문화를 가진 나라입니다.

3. 에티오피아 커피: 커피의 고향에서 즐기는 전통의식

🇪🇹 전통 이름: 부나(Bunna)

에티오피아는 커피의 기원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에티오피아 커피 세리머니(Coffee Ceremony)는 단순한 음료가 아닌 의례이자 문화 행사입니다.

  • 커피콩을 손으로 볶고, 맷돌에 갈아 끓이는 전통 방식
  • 세 번에 나눠 마시는 커피(아볼, 토나, 바레카) – 각각 의미 부여
  • 집안에서 손님을 환대할 때 필수적인 과정
  • 커피는 사회적 유대와 존중의 표현

이 의식은 커피의 기원, 공동체, 전통을 모두 담고 있으며, 오늘날 스페셜티 커피에서도 에티오피아의 유산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4. 이탈리아 커피 – 에스프레소 중심의 강렬한 리추얼

🇮🇹 전통 이름: 에스프레소(Espresso)

이탈리아는 현대 커피문화의 ‘표준’을 만든 나라로, 에스프레소를 중심으로 매우 정형화된 커피 소비문화를 갖고 있습니다.

  • 가장 기본은 짧고 진한 에스프레소이며, 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파생됨
  • 카페라떼, 마키아토, 카푸치노 등은 이탈리아에서 이름을 얻은 스타일
  • 아침에는 카푸치노, 식사 후에는 에스프레소 등 시간대와 상황에 따라 마시는 방식이 엄격
  • 대부분 서서 마시는 ‘바(bar)’ 문화가 중심이며, 짧고 강한 커피를 빠르게 마시는 것이 일반적

이탈리아에는 세계 커피 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국가 중 하나입니다.

 

5. 그리스 커피 – 느림의 미학과 사회적 소통

🇬🇷 전통 이름: 엘리니코스 카페(Ellinikós kafés)

그리스 커피는 터키 커피와 매우 유사하지만, 그리스만의 철학이 담겨 있습니다.

  • **브리키(briki)**라는 작은 주전자에 커피를 끓여 마시며, 커피 찌꺼기를 남기는 방식
  • 전통적으로 커피를 천천히 즐기며 긴 대화를 나누는 문화가 중심
  • **‘카페니오(kafenio)’**라 불리는 전통 카페는 노인들이 모여 장기, 대화를 나누는 공간
  • 정치적 토론과 사회적 교류의 장 역할도 수행

그리스 커피는 사회적 연결과 느림의 미학을 담고 있습니다.

 

결론: 커피 스타일은 그 나라의 문화 그 자체

전통 커피 스타일은 단지 맛의 차이가 아니라, 커피는 단지 마시는 음료가 아니라, 한 문화를 들여다보는 창이 됩니다.

우리가 오늘 마시는 커피 한 잔에도, 사실은 세계의 수많은 전통과 문화가 녹아 있습니다.
한 잔의 커피, 각 나라별 다른 문화. 그 안에는 인류의 다양성까지 담겨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