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슬람 세계에서 꽃핀 커피하우스의 문화

by 신동82 2025. 8. 24.

커피하우스의 기원은 어디일까요?
오늘날 전 세계 곳곳에 자리 잡은 커피숍 문화는 사실 이슬람 세계에서 시작된 공공 문화의 일부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15~16세기 이슬람 세계에서 시작된 커피하우스가 어떻게 지식과 토론의 공간으로 발전했는지,
그리고 그것이 현대 커피문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봅니다.

 

 

따뜻한커피와원두

1. 커피의 기원과 이슬람 세계의 만남

커피의 기원은 9세기 에티오피아로 알려져 있지만,
음료로서 대중화된 최초의 장소는 이슬람 세계였습니다.
15세기 무렵, 예멘의 수피즘(Sufism, 이슬람 신비주의) 수행자들이 기도 중 졸음을 막기 위해 커피를 마시기 시작하면서,
이슬람 종교 문화와 커피는 강하게 연결되었습니다.

  • 커피는 '카흐와(Qahwa)'라 불리며, 원래는 술을 의미하는 단어였지만 커피로 대체됨
  • 메카와 메디나, 카이로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커피 소비 확산
  • 16세기에는 오스만 제국 전역에 퍼짐

커피는 단순한 음료를 넘어, 경건함과 정신적 집중을 위한 도구로 받아들여졌습니다.

2. 카이로, 메카, 이스탄불: 최초의 커피하우스 등장

15세기 후반, 이집트 카이로에 세계 최초의 커피하우스가 등장합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의 수도였던 이스탄불에서 커피하우스는 더 정교한 사회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커피하우스의 특징:

  • 단순한 음료 판매 공간이 아닌, 정보 공유와 토론의 장
  • 신문이 없던 시대, 구전(口傳)을 통한 뉴스 유통의 중심
  • 종교, 정치, 문학, 철학을 논하는 장소
  • 남성 중심의 공공 공간으로 정치적 여론 형성에 영향

이러한 커피하우스는 '학자들의 클럽', '이슬람판 살롱 문화'로도 불리며,
지식인·상인·행정관 등이 어울리던 장소였습니다.

또한, 음악·공연·보드게임(바크 감몬) 등이 함께 이뤄지며
단순한 ‘음료 판매처’를 넘어선 문화 복합 공간으로 발전했습니다.

3. 종교와 정치의 충돌: 커피하우스 탄압과 부활

커피하우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일부 종교 지도자들과 통치자들은 이를 위험한 공간으로 간주하기 시작합니다.

주요 이유:

  • 토론과 비판의 공간 → 정치 불안 요소로 해석
  • 이슬람 법학자들 사이에서 ‘각성 효과’에 대한 논쟁 발생
  • 음모론, 풍자, 체제 비판이 활발해진 커피하우스가 정권을 위협한다고 판단

16세기 오스만 제국에서는 커피와 커피하우스가 일시적으로 금지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민중의 사랑은 그 어떤 법보다 강했고, 커피는 곧 합법적인 일상문화로 다시 자리 잡습니다.

결론: 커피하우스, 현대 카페 문화의 뿌리

오늘날 우리가 즐기는 ‘카페’는
단순히 음료를 마시는 공간이 아닌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는 장소입니다.
그 뿌리는 분명히 이슬람 세계에서 시작된 커피하우스에 있습니다.

  • 지식, 예술, 정치 담론의 중심
  • 사람들의 모임과 사유의 공간
  • 공론장(public sphere)의 초기 형태

현대 카페 문화는 이 유산을 바탕으로
더 다양하고 포용적인 공간으로 확장되었지만,
그 시작에는 15세기 이슬람 커피하우스의 지적·사회적 기능이 있었습니다.